목차
5월이면 시작되는 종합소득세 신고!
요즘 신고를 대행해주는 어플이 생겨나고 있는데요. 그 중 대표적인 어플 3가지 SSEM(쎔), 삼쩜삼, 마이택스를 비교해보았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우리에게 삼쩜삼이 광고를 많이 하고 있어서 익숙하지만, SSEM 어플이 더 정확하며 다양한 상황에 맞게 신고가 가능합니다.
5월 종합소득세 신고대상
-연말정산한 근로소득자인데 부업으로 인한 수입이 있는 사람
-프리랜서, 아르바이트, 블로거, 유튜버, 강사 등 사업소득이 있는 사람
어플 사용시 준비사항
종합소득세 신고를 대신해주는 어플들은 말 그대로 홈택스에서 내가 직접해야 할 신고를 대행해주는 것입니다.
어플을 통해 홈택스에 로그인이 되야 하기 때문에 인증절차가 있게 되는데요.
여러 인증 방법 중에 카카오 인증이 가장 간단합니다.
종합소득세 어플 사용이유
우선 종합소득세 신고는 사업소득이 있다면 의무입니다.
하지 않으면 가산세 등의 페널티가 있죠.
홈택스에 내가 직접 신고나 모의계산도 가능하지만, 사실 조금 어렵게 되어 있는게 사실입니다.
대표적인 종합소득세 신고대행 어플인 삼쩜삼(3.3)과 SSEM 같은 경우 내가 이번에 세금을 더 내야 하는지, 환급받게 되는지에 대한 조회를 조금 더 쉽게 가능합니다.
이런 조회는 무료이기 때문에 하지 않을 이유가 없죠.
조회는 무료이고, 그 후 바로 신고하기도 가능하며 신고할 때 비용(수수료)가 들게 됩니다.
그럼 이 두 어플의 특징과 비교를 해봅니다.
종합소득세 어플 비교
SSEM
신고가능 종류
- 부가세 신고
- 종합소득세 신고
비용
부가세 신고 | 33,000원 |
종합소득세 신고 | 33,000원 |
조회는 무료, 신고시 비용 청구
부가세 신고시 전자신고공제 1만원 할인 혜택 자동 적용
종합소득세 신고시 전자신고공제 2만원 할인 혜택 자동 적용
SSEM 장점과 단점
SSEM(쎔) 장점은 부가세 신고도 가능하며, 복식부기 대상자도 추계신고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에 세무대리인을 통해 신고를 하지 않는 사업자라면 활용하기 좋은 어플입니다.
그리고 최근 N잡(부업)하는 분들이 늘면서 블로그, 유튜브 수입에 대한 업종코드나 경비율 등 신고를 어려워 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SSEM(쎔) 어플은 내 수입항목 기입 종류 중에 구글 애드센스, 유튜브 수입 등 최근 추가된 업종코드도 추가되어 있습니다.
SSEM 사용후기
로그인 후 배우자,자녀 유무 등을 기입하면 3.3% 원천세를 내고 받은 수입이 자동으로 조회가 됩니다.
그 외 유튜브 수입이나 구글 애드센스 수입이 있다면 해당 항목을 선택 후 소득금액을 입력하면 됩니다.
반면, SSEM(쎔) 단점은 환급액이 적을 경우 수수료 정책 상 삼쩜삼보다 불리합니다.
FAQ
복식부기 대상자도 가능한가?
1. 부가세 신고는 복식부기 대상과 무관하여 가능합니다.
2. 종합소득세 신고
외부조정 대상자를 제외하면 가능합니다.
SSEM에서 복식부기 대상자의 경우 추계신고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보통 복식부기 대상자들은 매월 세무대리인에게 비용(약 10만원 내외)을 주며 기장을 작성하는게 원칙이긴 합니다.
하지만 세무대리인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기장없이 가산세를 내고 추계신고를 진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산세는 납부할 세금의 20% 정도입니다. 세금이 50만원 정도면 10만원 정도입니다.
삼쩜삼
신고가능 종류
종합소득세
비용
예상 환급액의 10~20%(금액 구간별 상이)
만약 환급액이 20만원이면 약 3만원 정도
삼쩜삼 장점과 단점
삼쩜삼의 장점은 수수료(비용)의 책정 기준에 따라 환급금이 많지 않은 경우에 SSEM보다 유리합니다.
삼쩜삼 단점은 조회 후 신고까지 이용하게 되면 세무대리인 수임동의라는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만약 내년엔 다른 어플이나 직접 신고하려면 세무대리인 수임동의를 해지해야 합니다.
▽수임동의 해지방법
아래 링크를 통해 환급금 신청을 하시면 스타벅스 기프트콘까지 추가로 받으실 수 있습니다.
마이택스
(주)세무통이라는 회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올해부터 이름을 바꾸어 종합소득세 신고를 대행합니다.
마이택스 단점
1. 수수료 책정 기준이 따로 없으며, 조회 후 확인만이 가능합니다.
2. 내 수입금액에서 3.3% 원천세가 납부된 것들은 자동조회되지만, 그 외의 수입들은 추가기입이 불가능합니다.
종합소득세 어플 비교
공통점은 연도별로 각각 수수료가 책정됩니다.
수수료(이용료) | 특징 | |
SSEM | 33,000원 | 부가세, 종합소득세 신고 가능 |
삼쩜삼 | 환급금의 10~20% | -종합소득세 신고만 가능 -추가 수입 기입불가 |
마이택스 | 기준없음(대략 환급금의 15~20%) | 추가 수입 기입불가 |
결론
-부가세 신고나 환급금이 많은경우, 그리고 원천세를 징수하지 않은 수입(구글 애드센스)이 있는 사람은 SSEM
-환급금이 크지 않고 수입이 원천세가 징수되어 홈택스를 통해 조회가 되는 사람은 삼쩜삼
세무사에게 맡길 경우 보통 10~20만원 정도 수수료가 들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어플을 이용하는게 더 좋아보입니다.
두 어플을 모두 다운받고 환급금을 조회해본 후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사실 이렇게 간편장부대상자에 단순경비율이 적용되는 대부분의 프리랜서나 사업소득자들은 셀프로 홈택스에서 신청하는게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홈택스에 수수료없이 셀프로 신청하는 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참고홈페이지
돈 벌게 해주는 글들!
🔗카카오뱅크에서 휴면예금 찾기,소멸시효 빨리 확인하세요.(13만원 받은 후기)
🔗내 차 리콜, 무상수리 대상 조회 그냥 하지 마세요.
댓글